ndaily

오세훈 "도시 전체가 거대한 정원인 서울 만들겠다"(종합)
기사 작성일 : 2024-05-23 20:00:29

정원도시 서울 토크콘서트 참석한 오세훈 서울시장


오세훈 서울시장이 23일 뚝섬한강공원 피크닉무대에서 열린 '정원도시 서울 토크콘서트'에 참석해 정원도시 서울에 대한 구상을 밝히고 있다. 2024.5.23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김기훈 기자 = 서울시는 23일 오후 5시 뚝섬한강공원 피크닉무대에서 '정원도시 서울 토크콘서트'를 열었다.

'서울, 정원으로 치유를 말하다'를 주제로 열린 이번 토크콘서트는 영화배우 박진희씨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오세훈 서울시장이 참석해 '정원도시 서울'의 청사진을 밝혔다.

오 시장은 "집 앞에 문만 열고 나가면 녹지를 즐길 수 있는 도시를 만들고 싶다는 갈망에서 '정원도시 서울'의 정책적 아이디어가 시작됐다"고 소개했다.

이어 "뭔가 잘 안 풀릴 때나 스트레스가 있을 때, 여유 있게 녹지를 걸으며 도시 생활을 지혜롭게 풀어나갈 수 있는 서울, 도시 전체가 거대한 정원인 도시 서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건축을 소재로 삼아 여러 채널로 소통해온 건축가 유현준 홍익대 교수, 미국 롱우드가든 등 다양한 정원에서 일했던 '가드너' 박원순 국립세종수목원 전시원실장도 패널로 함께해 도시와 건축·조경·정책 등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다.

유 교수는 "도시민들은 마당이 없는 아파트 생활을 하면서 녹지와 분리된 생활을 하게 되는데 점차 자연의 가치가 더 높아져서 자연을 즐기기 위해선 더 큰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도시 공간의 녹지는 누구나 자연을 누릴 수 있게 한다는 것이 포인트"라며 "도시민이 고루 스킨십할 수 있는 녹지 공간을 곳곳에 만드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실장은 "나무는 단 한 그루만 잘 자라도 그 속에 새, 벌레 등 수백·수천 종의 생물이 모여 살아가기 때문에 생물다양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며 "도시 환경에 알맞은 식물을 다채롭게 심다 보면 거대한 도시 생태계 망 형성과 탄소중립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뚝섬한강공원에서 열리고 있는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에는 개막 5일 만에 102만명이 다녀가는 등 큰 관심을 받고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시는 지난해 비움, 연결, 생태, 감성이라는 네 가지 핵심 전략을 통해 단절된 녹지를 연결하고 자연과 생태가 공존하는 세계적인 녹색도시로 발돋움하겠다는 '정원도시 서울' 구상을 발표했다. 이어 올해 3월에는 '매력가든 프로젝트'를 통해 3년 안에 동행매력가든 1천 곳을 조성한다는 실행계획을 공개했다.

댓글

관련 기사